오랜만의 가이드 편의 업데이트입니다.
이번에는 세비지를 해 보도록 하지요.
1. 설명
아시다시피 세비지는 미드가드를 대표(?)하는 밀리 클래스입니다. 양손 격투무기 혹은 투핸드를 들고 자신의 HP를 소모하면서 셀법을 이용하여 밀리 뎀딜을 하는게 특징인데요. 그 밀리데미지는 3국 최고의 딜링을 자랑합니다.
특이점이라고 한다면 우선 차지 어빌리티가 생겼고, 지금은 RA가 아닌 50레벨 달성 시 자동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RA 트리를 구성하기 매우 쉬워졌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밀리 그룹 구성 시에는 반드시 1슬롯 이상 자리가 있고, 하이브리드 그룹에서는 메인 BG나 필링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룹에서의 인기도 또한 높은 편입니다.
2. 종족
세비지는 노스맨, 트롤, 드워프, 코볼드, 발킨 다섯 종족으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우선 초기 스탯으로 보자면....
노스맨 - 70/70/50/50 (힘/체/민/순 순서)
트롤 - 100/70/35/35
드워프 - 60/80/50/50
발킨 - 55/45/65/75
코볼드 - 50/50/70/70 입니다.
우선 데미지는 격투 - 힘, 민첩 각각 50%에 투핸은 힘 100% 기반입니다. 트롤이 힘+민첩 초기수치가 135로 가장 높고, 나머지 종족은 120, 드워프는 110입니다. 따라서 데미지로 따지면 트롤이 가장 유리합니다.
다만 덩치가 커서 시야확보에 압박이 있고, 몸집이 커서 타겟되기가 쉽기 때문에 이것이 부담으로 작용되기도 하는데, 그렇다면 그 다음으로 가장 좋은 것은 코볼드입니다. 우선 민첩, 순발이 높으므로 이베이드 발동율이 다섯 종족 중 가장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세비저리 라인의 이베이트 셀법을 키면 이베이드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데다가 상대적으로 타종족에 비해 민첩과 순발치가 높은 코볼드는 더더욱 효과가 증가하는 느낌입니다.
때문에 추천종족은 트롤, 코볼드 이 두 가지입니다. 뛰는 폼이 유니크하고 역동적(?)인 발킨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고 인간형인 노스맨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체력이 높은 드워프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개인 취향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3. 초기 스탯 배분
힘체민에 10을 주거나, 힘10, 민15을 주는게 일반적입니다. 퀵(순발)은 헤이스트 셀법이 있으므로 굳이 초기스탯에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4. 스킬 투자
투핸 세비지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요새는 전장에 거의 없는 것 같더군요. 데미지면으로 보자면 역시나 격투가 투핸보다는 낫습니다. 높은 확률의 연타도 그렇고, 투핸보다 격투무기 프록이 압도적으로 좋은 것도 그 이유가 되겠습니다.
격투 세비지 스펠트리는 딱 두 가지입니다.
1) 셀법형 - Savagery 49 / Hand to Hand 44 / 나머지 패리
세비저리 49를 찍으면 모든 최종단계의 셀법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H2H가 44라 데미지는 조금 떨어지지만 높은 DPS버프로 이를 상쇄시키는 것이 이 트리의 특징입니다. 투핸을 해머나 액스로 가게 되면 H2H를 각 무기 스킬로 바뀌서 쓰셔도 무방합니다.
2) 뎀딜형 - Savagery 40 / Hand to Hand 50 / 나머지 패리
H2H를 최대로 끌어올려 연타확률을 최대로 한 스펙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스펙이기도 합니다. 세비저리는 때에 따라서 41까지 줘서 마지막 엔듀버프를 뽑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스펠 크래프팅
스펠 시 스탯은 민첩>힘>체력>순발 순으로 맞추고, HP는 최대한 많이 줍니다. 순발은 일반적으로 50대 정도만 주셔도 플레이에 큰 답답함은 없습니다만, 이베이드를 생각하면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TOA 보너스는 늘 그렇듯 Melee Damage, Style Damage, Melee Combat Speed를 맥스로 갑니다. 세비지는 4스탯을 맞춰야 하므로 여타 퓨어밀리 대비하여 스펠이 빠듯한 편이지만, 웨폰 스킬이 한 가지인데다 슬롯은 두 개이기 때문에 그래도 다른 하이브리드 밀리보다는 수월한 편입니다.
6. 스펠 필수 아이템
1) Otherworldy Mighty Eyes (헬멧)
OW 캠페인 마지막 챕터 보상품입니다.미씨컬 힘캡을 6을 올려주는데다가 DPS 7이 부가로 붙어있어서 높은 데미지를 요하는 세비지에겐 필수템이라고 봅니다. 참고로 DPS 라는 옵션은 샤먼, 룬마가 주는 데미지애드 버프와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최대 10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가이드에서도 말했다시피 리액티브 프록은 280 가치 힐입니다.
2) Cloak of the Loyality Savage (망토)
CL(챔피언 레벨) 15 달성 시 왕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망토입니다. 예전 아티마냥 10레벨까지 몹 사냥 등으로 레벨업을 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참고로 옵션에는 DPS 2, Melee Speed 4%, Melee Damage 2%, Style Damage 2%, 그리고 미씨컬 힘캡과 덱스캡이 각각 6씩 붙어있습니다. 유틸치는 다른 아이템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지만 use 프록이 매우 실합니다.
1번 프록인 15초간 40% 마법레지 증가는 누킹 데미지를 맞을 시 사용하면 매우 좋고,
2번 프록은 일정 시간동안 (예전에는 10분이었다가 최근 시간 너프를 맞은 것 같더군요.) 셀프 스텔스 로어로 텔서 찾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주로 애드 위험구간에서 사전에 디택 기능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3) Sulphurous Demon Belt (벨트)
DF 블러드씰로 구입 가능한 벨트입니다. 힘, 체, 순발 미씨컬캡이 5씩 붙어있어서 밀리 계열에서는 아주 높은 빈도로 사용됩니다.
4) Otherworldly Adept Ring (링)
OW 캠페인 챕터 1 보상품입니다. 힘, 민첩 미씨컬캡이 4씩 붙어있고, use 프록은 셀프 킹스오라 또는 큐어 디지즈입니다.
주로 위 네 아이템은 필수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5) 기타
밀리 레지야 레지셀법이 있으니 굳이 필요는 없고, AOM 차지는 밀리 계열에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ex) Slime Coated Ring 또는 Dragontooth Bracelet
투핸 슬롯에는 킹스피어를 많이들 사용했는데, 그룹에 스칼드가 있을 경우에는 스칼드 배틀송 라인에 킹스오라 상위급의 챈트 버프가 있으므로 킹스피어보다는 배틀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디법용으로)
그 외에는 OW Soul 또는 Elemental Bracer를 추천합니다. 캐스팅 펌블 효과가 있으므로 베인로드를 탈 수 없는 단점을 그나마 보완해 줄 수 있습니다.
쥬얼은 다굴 방지용 애로건시 또는 캐스팅 속도 디법이 장착된 Gem of Harbinger 또는 차지 다운일 때 도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Dark Dragon Locket을 추천합니다. 만일 스펠이 좀 빠듯하다면 밀리에게 높은 유틸을 제공해주는 Skull of Soul Keeper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공성용으로 사용할 브루저 하나도 풀어두면 좋을 것 같네요. 해머로 풀리지만 ML 배틀마스터 스타일을 사용해서 쓸 수 있습니다.
6) 메인 웨폰
투핸 계열이라면 소환펫 프록이 있는 라이트닝 소드나 해머를 서브로 두고.... 메인 웨폰은 공속이 느린 6.0 스피드 드래곤 드랍을 쓰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DF 웨폰이라던지.... Cursed 웨폰은 룩이 구려서 비추합니다;;)
격투 계열이라면 공속이 가장 느린 Cursed 드랍 4.5spd를 메인핸드로 The One 4.4spd를 오프핸드로 두는게 좋고, 그게 아니면 오른손 The One에 오프핸드에는 명중율 버프가 있는 Pictslayer나, 디지즈 프록이 있는 ml10 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통상 템플을 짤 때 웨폰프리로 하거나, 최소한 오른손을 픽스로 잡고 왼손 프리를 염두에 두고 짜기도 하니 입맛에 맞게 여러자루의 무기를 들고 다니시는게 좋습니다.
7. Master Level
닥치고 배틀마스터 (물론 워로드도 가능합니다만, 효율이 그닥....)
8. 챔피언 스킬
시어 라인의 마법 레지, 디지즈는 필수인 것 같고, 시어링 대비하여 셀법 라인까지 배워두셔도 무방합니다. 솔플 위주로 하실거면 시어라인의 힐을 배우시는걸 추천합니다.
미스틱 라인에서는 원거리 견제용으로 디디 한 개 정도 뽑으시는걸 추천합니다. 오래전에 디지즈 거리가 1000으로 너프된지라 1000 초과 견제용으로는 디디가 낫습니다.
9. RA 트리
기본은 디터 9, 퍼지 2입니다. 그리고 어보매 5까지 찍고 마스터리 오브 페인과 오그멘티드 덱스를 찍으면 됩니다. 데미지를 보강하려면 마페와 오그덱스 위주로 가면 되고, 8맨용으로 좀 더 탄탄한 몸빵을 위해서라면 어보매를 더 올려주시면 되겠습니다. (IP를 가도 되고)
세비지는 ra트리가 매우 단순해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겠네요.
10. 실전 RVR
밀리그룹에서는 최전방보다는 중간에 서는 것이 좋습니다. 전방 압박은 베인로드 버석이나 하이브리드 발키리, 스칼드가 훨씬 효율이 좋기 때문이죠. dps가 원체 좋다보니 전방에서 그룹의 공격을 주도하기도 하지만, 하이브리드 그룹이나 캐스터 그룹 상대로는 중앙에서 무게를 잡아주는 역할이 좋습니다. 때문에 하이브리드 그룹에서는 오히려 베인로드 버석을 더 선호하기도 합니다. (펫 소환프록 달린 칼도 있고, pb 인터럽 스킬을 최소 3개는 보유하고 있으니....)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메인 BG를 맡는 경우도 있으므로 힌더드 센스 또한 필요하죠.
패치 후에는 후방기가 힌더에서 스턴으로 바뀌었으므로 후방 스턴기로 적을 세우고 측방으로 힌더를 거는 식으로 peel을 합니다. 그 때문에 peeler로서는 성능이 많이 떨어지긴 했습니다만, 어찌됐든 BG 상태에서는 후방의 캐스터와 함께 엄청난 dps를 뿜어낼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그룹에서 세비지의 역할은 꽤나 중요합니다.
다만 밀리 그룹에서 vs 밀리 그룹을 상대 시에는 확실히 워리어 쪽이 더 좋은 성능을 가지게 됩니다. 이 때는 워리어와 함께 힐타를 수행하거나 워리어가 미처 닿지 못하는 곳의 서브 bg로서 활약하는 쪽이 좋다고 봅니다.
정리하자면....
1. 캐스터 혼성 그룹
- 메인 필러, BG
2. 밀리 그룹
- 메인 DPS, 서브 BG 수행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앞서 ML은 닥치고 '배틀마스터'라고 한 이유도 이 때문이구요. 배틀마스터의 유용한 광역인터럽 스타일들을 잘 사용하면 BG받고 있는 서포터나 캐스터를 괴롭힐 수 있다는 것도 세비지의 장점 중 하나죠. 부족한 엔듀야 셀법으로 빨아버리면 그만이니....
세비지 참고 영상은 아래에 부칩니다.

현재에도 활동 중인 OC 길드의 Ashmir의 세비지 영상입니다. 동영상 촬영 당시 세비지의 위력은 역대 최고였던 때라 밀리그룹 셋업에 세비지 2자리 이상 넣고 다녔던 시기였음을 참작하시고 보시는게 좋겠네요. 현재 세비지는 이것보다는 압박이 좀 덜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현재 세비지는 이 당시 세비지에 비해 후방 힌더드가 없고(대신 4초 스턴이 생겼고), 밀리 명중율(스탠스 삭제)은 좀 더 하락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11. 마치며....
SI 시절 등장한 세비지는 십수년이 지난 지금도 DAOC 세계 밀리 dps 최강자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3~4연타 데미지 뜨면 한 틱에 1000 이상의 데미지도 가뿐히 뽑아낼 수 있는 클래스이죠. (참고로 현재 다옥의 캐스터 평균 hp는 1800~2000대 정도, 서포터 계열은 2000대 중반, 하이브리드 밀리는 2000대 중후반, 이도류 계열은 3000대 초반, 헤비탱커는 3000대 중후반입니다. 여기에 킹스오라 같은 류의 버프를 받아 10~15% 정도가 상승하기도 합니다.)
플레이 또한 다소 단순한 편이라 초보자도 접근이 쉬운 편이고, 다옥을 오래 쉬었다 할 지라도 세비지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스타일 라인만 다소 바뀌었을 뿐) 적응에도 무리가 없으리라 봅니다.
그럼 다음에 또 다른 클래스로 돌아오겠습니다.
이만~